【Orlando(U.S.A)=Break News GW】
2016년 몽골 캠퍼스 겨울방학을 이용해, 짧은 고국 방문에 나선 강외산 몽골인문대학교 교수(본지 몽골 특파원 겸 KBS 몽골 주재 해외 통신원)가, 취재 차, 미국 방문에 올라, 지난 12월 26일 월요일과 27일 화요일 이틀 간에 걸쳐,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를 방문했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강외산 교수가 숙소인 하얏트 센트릭 키웨스트 리조트 & 스파 (Hyatt Centric Key West Resort & Spa) 정문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미국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로 가는 길은 참으로 멀었다. 자동차로 장장 10시간이 걸리는 대장정이었다. 이 기회를 빌려, 운전대를 잡은, 미국 플로리다 현지의 코리아 위클리 김명곤 대표이사 겸 기자(재외동포언론인협회 정회원)에게 깊은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. 김명곤 기자에 대한 얘기는 다음 기사에 언급하기로 한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강외산 교수가 묵었던 하얏트 센트릭 키웨스트 리조트 & 스파(Hyatt Centric Key West Resort & Spa) 객실 뒤로 바다 풍경이 시원하게 펼쳐져 있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강외산 교수가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입장하기 직전 집을 둘러싸고 있는 담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주지하다시피, 헤밍웨이는 평생 동안, 4번의 혼인을 거듭하며, 4명의 부인와 같이 살았다.
1. 해들리 리처드슨(Hadley Richardson,1891~1979)=>같이 산 기간(1921~1927)
2. 폴린 파이퍼(pauline pfeiffer,1895~1951)=>같이 산 기간(1927~1940)
3. 마사 겔혼(Martha Gellhorn,1908~1998)=>같이 산 기간(1940~1945)
4. 메리 웰시(Mary Welsh,1908~1986)=>같이 산 기간(1946~1961)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(위 왼쪽부터) 첫 번째 부인 해들리 리처드슨(Hadley Richardson,1891~1979),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(Pauline Pfeiffer,1895~1951), (아래 왼쪽부터) 세 번째 부인 마사 겔혼(Martha Gellhorn,1908~1998), 네 번째 부인 메리 웰시(Mary Welsh,1908~1986)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이 네 명의 부인들은 헤밍웨이의 작품들을 태어나게 해 준 보석 같은 존재들이었다. 왜냐. 첫 번째 결혼에서는 <해는 또 다시 떠오른다(The Sun Also Rises, 1926)>, 두 번째 결혼에서는 <무기여 잘 있거라(Farewell to Arms, 1929)>, 세 번째 결혼에서는 <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(For Whom the Bell Tolls, 1940)>, 네 번째 결혼에서는 <노인과 바다(The Old Man and the Sea, 1951)>를, 헤밍웨이가 각각 써냈기 때문이다. 전체적으로 보면, 자살로 삶을 마감했을지언정, 헤밍웨이로서는 현세에서는 부인을 갈아치울 정도로 참으로 여복이 많았던 셈이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강외산 교수가 헤밍웨이 30대 거주지 현관을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거실 벽 1시 방향 사진의 왼쪽에 50대의 헤밍웨이, 오른쪽에 소설 <노인과 바다(The Old Man and the Sea)>의 주인공 실제 모델인 그레고리오 푸엔테스(Gregorio Fuentes)가 나란히 등장했다. 쿠바 국민인 푸엔테스는 헤밍웨이 낚시 보트의 요리사 겸 친구로서 헤밍웨이와는 막역한 사이였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본 기자가 방문한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는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(Pauline Pfeiffer,1895~1951)와의 삶의 추억이 얽힌 곳이다. 훗날 세 번째 부인 마사 겔혼(Martha Gellhorn,1908~1998)과 함께 쿠바로 건너가면서 이 거주지는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(Pauline Pfeiffer,1895~1951)에게 "너 가져라!" 하고 넘겨주었다고 역사는 전한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헤밍웨이와 첫 번째 부인 해들리 리처드슨(Hadley Richardson,1891~1979)의 혼인 예식 사진은 지금으로부터 자그마치 96년 전에 촬영됐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헤밍웨이가 첫 번째부인에게서 얻은 아들 존(John)과 찍은 사진이 벽에 걸려 있다. 이후, 헤밍웨는, 두 번째 부인에게서 패트릭(Patrick)과 그레고리(Gregory) 등 두 아들을 더 얻어, 모두 세 명의 아들들을 남겼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세월무상을 대변해 주는 헤밍웨이의 사진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헤밍웨이가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(Pauline Pfeiffer,1895~1951)와의 삶의 추억이 얽힌 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를 돌아보며, 본 기자는 소설 <무기여 잘 있거라(Farewell to Arms, 1929)>의 영화 장면의 마지막 부분을 떠올렸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벽에 걸린,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적십자사의 구급차 운전사로 참전한 19세의 헤밍웨이가 짝사랑했던 26세의 적십자사 간호사인 아그네스 폰 쿠롭스키(Agnes Von Kurowski) 사진이 눈길을 끈다. 당시 이탈리아 장교와 사귀고 있던 이 간호사는 헤밍웨이에게 실연의 아픔을 남겼다.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 바로 <무기여 잘 있거라>였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두 번째 부인 폴린 파이퍼(Pauline Pfeiffer)와 공유했던 침실이 포근해 보인다. 헤밍웨는, 이 두 번째 부인에게서 패트릭(Patrick)과 그레고리(Gregory) 등 두 아들을 얻었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미국인 중위 프레더릭 헨리가 난산 끝에 숨을 거두는 영국의 간호사 캐서린 버클리에게 울면서 이렇게 말한다. "Cold, cold! You are so cold, Cat, like a statue!(몸이 차군, 차네! 캐서린, 몸이 아주 차군, 동상(銅像)처럼 말이야!)"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출생 직후 죽어버린 간난아들과 캐서린의 죽음, 죽은 두 모자를 뒤로 하고 병원을 나서 휘청거리며 걸어가던 프레더릭을 보며, "왜 인생은 이렇게 슬프게 끝나는 것인가?"를 안타까워 하던 본 기자의 젊은 날은 이제 가고 없다. 어차피, 소설은 발단=>전개=>위기=>절정=>결말로 치닫게 되고, 결국, 인생이라는 것은 그런 희로애락이 담긴 한 편의 소설인 것을!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헤밍웨이가 포획한 청새치를 배경으로 굳건히 섰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거실을 둘러본 본 기자는 이번에는 거실 건너편 2층에 있는 헤밍웨이의 서재 및 작업실을 들렀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헤밍웨이의 서재 및 작업실 전경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지금은 바야흐로 컴퓨터 자판 입력 시대임에도, 본 기자는 서재 및 작업실 테이블에 놓여 있는 헤밍웨이가 사용했던 타자기에 주목했다.
▲미국 플로리다 최남단 키웨스트 소재 헤밍웨이 30대 거주지에 서다. 헤밍웨이의 서재 및 작업실 테이블에 헤밍웨이가 사용했던 타자기가 눈길을 끈다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헤밍웨이가 사용했던 타자기에 주목하며 본 기자는 문인로서의 본 기자의 향후 활동을 헤밍웨이가 하늘에서 음우(陰佑)하고 외호(外護)해 주기를 간절히 소망했다.
▲헤밍웨이와 타자기. © 알렉스 강 몽골 특파원 |
|
|